‘스마트 푸드 QR’로 소비기한은 물론 레시피까지 확인한다
- 대한상의·식약처·삼성전자·LG전자·롯데백화점·아워홈·대상웰라이프 간 MOU 체결
- 바코드에 식품정보 담는 스마트 푸드QR... 전세계 117개국 가입한 GS1 표준 QR 적용
- 삼성·LG, 표준 QR 활용한 식재료 관리 서비스 추진...식품업체, 소비자 안전 강화 가능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는 12일 상의회관에서 식품의약품안전처, 삼성전자(주)·LG전자(주), 롯데백화점, ㈜아워홈, 대상웰라이프(주)와 MOU를 체결하고, 식약처가 추진하고 있는 스마트 푸드QR 사업에 글로벌 표준 바코드를 활용할 수 있도록 협력하기로 했다.
스마트 푸드QR 사업은 표준 QR 코드에 식품정보를 글로벌 표준에 맞게 담아 제조 ․ 유통 ․ 소비 과정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이번 협약을 계기로 생산된 제품은 표준 QR 하나로 상품계산 뿐만 아니라 제품식별과 재고관리, 소비기한 관리까지 가능하게 된다.
특히 이번 협약으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개발을 추진하고 있는 냉장고, 전자레인지 등 스마트 가전제품에도 표준 QR이 적용될 예정이다. 소비자는 식재료에 부착된 표준 QR을 인식해 소비기한을 관리할 수 있고, 식재료를 활용한 조리법도 손쉽게 알 수 있게 된다.
<표> 표준QR 정보 활용 방안
구분 | 표준 QR 제공 정보 | 활용 방안 |
제조 | 상품식별코드, 제조번호 | 상품 구분, 출하, 재고관리 |
유통 | 상품식별코드, 소비기한 | 상품계산, 재고관리 |
소비자 | 소비기한, QR링크 사이트 | 소비기한, 식품상세 영양정보, 조리정보 등 |
식약처 | 이력추적 일련번호, 소비기한 | 식품 안전 관리 |
<그림> 스마트 푸드QR
* 식품의약품안전처 제공
대한상의, 식품제조 ․ 유통업부터 소비자까지 편의성 높이는
표준 QR코드 활용 적극 지원
대한상의는 푸드QR사업 참여기관을 비롯해 산업계가 GS1 표준 QR을 원활하게 적용하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GS1은 전세계 117개국이 참여하는 유통표준 국제기구로 편의점 ․ 마트 등 유통매장에서 계산할 때 스캔하는 1차원 바코드, QR로 대표되는 2차원 바코드 등의 표준을 만들어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은 GS1 한국 대표기관으로 국제표준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실행 과정에서 자문도 진행할 예정이다. 푸드QR에는 상품식별코드, 제조번호, 일련번호, 소비기한 등의 정보를 인터넷 주소 형식으로 표현하는 GS1 디지털 링크* 방식이 적용된다.
인터넷 주소에 표시된 숫자로 상품정보, 소비기한 등을 확인 할 수 있고, 연결된 인터넷 페이지로 소비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제공한다. 기존 일반 QR은 제조사 홈페이지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았고, 제공되는 정보도 제각각이어서 상호 정보 연계가 어려웠다.
* Digital Link : 바코드 전달 정보를 인터넷 주소 형식에 따라 구성하는 기술
(표준 적용 정보) https://foodqr.kr/01/08801234560009/10/Q12345/21/A213291199?17=241231 (서버 주소) (상품식별코드) (제조번호) (일련번호) (소비기한) |
<그림2> GS1 표준 정보의 푸드QR 생성 예시
표준 QR이 확산되면 유통업체들은 표준 QR코드 부착을 통해 소비기한이 지난 상품의 판매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고, 리콜이 필요한 상품을 신속하게 추적하고 관리함으로써 소비자들이 보다 안전하게 소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영양정보나 프로모션 정보, 마케팅 영상 제공 등 다양한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장근무 대한상공회의소 유통물류진흥원장은 “스마트 가전과 표준QR의 연계는 소비자의 편리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식약처 및 관련 기업들과 협업을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