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정무위원회가 ‘홈플러스 사태’의 책임을 묻기 위해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을 증인으로 소환했지만, 김 회장은 해외 출장을 이유로 출석을 거부했다. 이에 따라 정무위에서는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 경영진을 상대로 강도 높은 질의가 이어질 전망이다.
김병주 회장은 14일 국회 정무위에 해외 출장을 이유로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공식적으로 그는 17일부터 19일까지 상하이와 홍콩을 방문한다고 밝혔지만, 정치권에서는 “국회 출석을 피하려는 의도적인 일정 조정”이라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의 기업회생절차 신청 직전까지 기업어음(CP)을 발행해 투자자들에게 손실을 떠넘겼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김 회장을 향한 책임론이 거세지고 있다. 이에 정무위는 김광일 MBK파트너스 부회장, 조주연 홈플러스 공동 대표 등 5명을 증인으로 채택해 철저한 진상 규명을 예고했다.
홈플러스는 지난 4일 법원에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했다. 문제는 그 직전까지 MBK파트너스가 홈플러스 명의로 기업어음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했다는 점이다. 이 과정에서 투자자들에게 손실이 떠넘겨졌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MBK파트너스의 ‘먹튀 논란’이 불거졌다.
MBK파트너스는 “기업 운영 과정에서 불가피한 결정이었다”고 해명했지만, 정치권과 투자자들은 이를 두고 “의도적인 자금 유출”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실제로 홈플러스는 2015년 MBK파트너스에 인수된 이후 지속적인 구조조정과 부동산 매각으로 수익을 창출했지만, 정작 재무 건전성은 악화일로를 걸었다.
MBK파트너스는 지난 16일 김병주 회장이 홈플러스 정상화를 위해 사재 출연을 고려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이를 두고도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정무위 관계자는 “사재 출연이 구체적으로 얼마인지, 어떤 방식으로 진행될 것인지에 대한 설명이 없다”며 “진정성 있는 대책인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MBK파트너스는 과거에도 비슷한 위기 상황에서 대주주의 책임을 회피하는 모습을 보여온 바 있어, 이번에도 ‘말뿐인 대책’이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정무위 소속 여야 의원들은 “김 회장이 직접 나와 투자자 피해 및 홈플러스 경영 실패에 대한 책임을 명확히 밝혀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한편, 김병주 회장의 불출석 결정에 따라 정무위는 향후 추가 증인 출석 요구나 법적 조치를 검토할 가능성도 있다. 이번 ‘홈플러스 사태’가 한국 사모펀드 운영 방식 전반에 대한 제도 개편 논의로 확산될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