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재정부,
대내외 불확실성 대응 및 민생 경제 회복 위한 과장급 정기인사 단행
기획재정부(기재부)는 5일 대내외 경제 불확실성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민생 경제 회복을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올해 과장급 정기인사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인사는 복합적인 정책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경험과 능력을 갖춘 인재들을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데 중점을 뒀다. 기재부는 신진 인재와 경험이 풍부한 인력을 조화롭게 배치하여 조직의 혁신과 연속성을 동시에 추구하는 방안을 고민했다.
기재부는 “이번 과장급 인사는 부총리와 1·2차관이 논의한 인사 기준과 방향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개인별 희망 실국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1급 및 국장들의 의견을 반영해 최종 확정됐다”고 설명했다.
기재부는 전체 119개 과장 직위 중 102개(86%)를 교체하는 대규모 인사를 단행하며 조직의 역동성과 활력을 강화했다. 특히, 50~51회 상당의 과장 인원이 지난해 11명에서 올해 22명으로 두 배로 확대되었으며, 80년대생 과장도 10명에서 17명으로 크게 늘어났다. 이번 인사에서 주목할 만한 인물은 1984년생 전보람 지속가능경제과장이다.
또한, 기재부는 업무 성과와 전문성이 뛰어난 인재를 발탁하여교체했다. 특히, 실국 총괄과장 직위에서 여성 인재 배치를 지난해 1명에서 올해 3명으로 늘려 유능한 여성 인재를 주요 직위에 적극적으로 임용했다. 주요 인사로는 박정현 개발금융총괄과장(45회), 이지원 재정관리총괄과장(45회), 최지영 공급망정책과장(46회) 등이 포함됐다.
기재부는 실국 칸막이 해소 및 소통 강화를 위해 1·2차관실 교체 인사도 시행했으며, 총 13명의 인원이 이동했다. 이를 통해 조직 생산성을 높이고, 각 개인의 역량을 극대화하는 방안을 도모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신설된 과장급 전략적 인사교류 직위는 지난해 1건에서 올해 3건으로 확대되었으며, 이를 통해 부처 간 협의를 강화하고 상호 전문성을 공유하는 정책 협업을 더욱 활성화할 계획이다.
기재부는 이번 과장급 인사를 통해 민생 경제의 회복을 위해 신속하고 효과적인 정책을 추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으며, 향후 경제 상황에 맞춰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조직을 재편성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