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in PREMIUM=기획팀 ]
사진평론가 김승곤의사진읽기
작품명: 준비된 사진가
사진 :안태로 作 한미칼라팩(주) 대표이사
한국사진예술원 심화과정 제11기
준비된 사진가 - 안태로 作
“내가 보고 싶었던 것이 바로 이런 사진이었어!” 그런 생각이 들게 만드는 풍경사진을 지금까지 몇 장이나 보셨는가요? 감탄이 터지게 만드는 감동적인 장면과 절묘한 타이밍을 잡은 사진의 유효성이나 완벽한 구도법 같은 기술적으로 극복해야 할 문제들의 중요성을 부정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아프리카 대자연 속의 신기한 야생동물이나 극지의 오로라 사진, 환상적인 일몰을 찍은 사진들이 감동을 주는 것은 맞지만, 그중 어떤 것은 그림엽서나 캘린더, 관광안내 책자에 나오는 사진 이상도 이하도 아닌 경우가 많습니다.
적절한 시간에 운 좋게 그 장소에 입회할 수만 있다면 누구라도 찍을 수 있는 그런 사진은 아무리 아름답고 스팩터클한 장면이라고 할지라도 가슴에 오래 남을 감동 대신 공허한 뒷맛만을 남기기 마련입니다. 진정 훌륭한 풍경사진의 조건 가운데 하나는 보는 사람들을 장면의 안쪽으로 끌어들여서 마치 그 안에 자신이 서 있는 것처럼 느끼도록 만드는 사진입니다. 그런 사진들에는 날씨와 광선의 상태 같은 것들의 선택에서부터 카메라 워크에 이르기까지 몇 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핵심이 사진가의 생각과 준비입니다.
극적인 감정을 일으키게 만드는 마술 같은 공식도 기법도 없습니다. 유일한 조언은 사진을 통해서 무엇을 보여주고 싶은지, 그리고 감상자들이 무엇을 느끼기를 원하는지에 대해서 사진가가 신중하게 생각해 보아야 한다는 것, 그리고 우연이나 행운의 도움을 기대하기보다 최종적인 결과를 마음속으로 그려보고, 그것을 실현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일들을 미리 준비하라는 것입니다. 정확하게 때를 맞춰 찾아간 만추의 용담호, 사진에서는 평온함과 부드러움, 섬세하고 몽환적인 느낌이 짙은 물안개처럼 피어 오르고 있습니다.
글 : 김승곤 (사진평론가 / 한국사진예술원 주임교수. 국립순천대학교 전 석좌교수)
쓰쿠바대학교 대학원 예술학 석사
니혼대학교 사진학, 고려대학교 국문학 학사
저서‘읽는 사진’
2004년 일본사진협회 국제상
2003년 제3회 이명동사진상
2010~2011 서울사진축제 초대운영위원장
2004~2006 동강사진마을 초대운영위원장
한국사진예술원 SPC사진클럽은 국내 최대 CEO를 위한 사진예술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중이며 다양한 작품활동과 전시회를 개최 하고 있다. -편집자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