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카드(대표이사 사장 최원석)발표결과
출산율 감소, 가계 지출 최후의 보루 교육비마저 무너트렸다
올 한 해 국내 주요 분야 소비, 전년 동기 대비 4% 감소… 월 최대 7.7%까지 줄어드는 등 매월 감소세 기록
7개 주요 분야 內 교육 소비 6% 감소한 가운데 펫/문화(-9%), 레저(-7%), 식음료(-7%) 등 全분야서 감소 확인
출산율 1명 미만 영향, 교육 매출 비중서 절반 넘는 어린이집 소비 급감… 사교육 소비는 여전히 증가 中
7개 분야서 13개 업종으로 분석 범위 넓혀도 전년 동기 대비 소비 증가한 업종 2곳(온라인 쇼핑, 운송)에 불과
쇼핑 분야(매출 비중 50.2%) 內 온라인 쇼핑 업종 소비 4% 증가… 반면 오프라인 쇼핑 업종 소비는 5% 감소
식음료 분야(매출 비중 21.7%) 內 음료 업종 소비 12% 줄어… 이어 주점 및 식당 소비도 11%, 6%씩 감소
BC카드(대표이사 사장 최원석)가 올 한 해 국내 주요 분야에서 발생된 소비가 지난해 대비 4% 감소했다는 결과가 나왔다.
'ABC(Analysis by BCiF[1]) 리포트' 23호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국내 주요 분야에서 발생된 소비는 전년 동월 대비 매월 감소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표 1. 참고)
<표 </em>1. 주요 물가지수 및 소비 지표>
| ’24.1 | ’24.2 | ’24.3 | ’24.4 | ’24.5 | ’24.6 | ’24.7 | ’24.8 | ’24.9 | ’24.10 | ’24.11 |
소비자물가지수* | 113.2 | 113.8 | 114.0 | 114.0 | 114.1 | 113.8 | 114.1 | 114.5 | 114.7 | 114.7 | 114.4 |
생활물가지수** | 3.4% | 3.7% | 3.8% | 3.6% | 3.1% | 2.8% | 3.0% | 2.1% | 1.5% | 1.2% | 1.6% |
국내 소비** | -7.7% | -3.4% | -4.2% | -5.6% | -7.4% | -4.9% | -5.8% | -5.4% | -1.0% | -4.7% | -1.4% |
*소비자물가지수: 소비자가 구입하는 상품/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측정하기 위한 지표, 통계청(2020=100)
**생활물가지수: 일상생활에서 소비자들이 자주/많이 구입하는 생활필수품을 대상으로 작성된 보조지표, 통계청(전년 동월 대비)
***국내 소비: BC카드 ABC 리포트(전년 동월 대비 소비 비교)
올해 내내 주요 분야에서의 매출이 감소세를 기록한 가운데 가계 지출 최후의 보루로 여겨지던 교육 소비가 전년 동기 대비 5.6% 급감한 것이 눈에 띈다.(표 2. 참고)
<표 </em>2. 국내 주요 분야 소비 및 비중 증감(23.1~11 대비 24.1~11)>
| 교육 | 교통 | 레저 | 쇼핑 | 식음료 | 펫/문화 | 의료 | 전체 |
소비 증감 | -5.6% | -4.7% | -7.0% | -0.7% | -6.6% | -9.2% | -4.4% | -4.0% |
매출 비중 (전년 대비) | 4.0% (-0.8p) | 10.2% (-0.1p) | 3.5% (-0.1p) | 50.2% (+1.6p) | 21.7% (-0.6p) | 0.6% (-0.04p) | 9.8% (-0.04p) |
|
BC카드 관계자는 교육 소비 급감의 주요 원인으로 합계 출산율 1명이 붕괴된 점을 꼽았다. 실제 올 한 해 교육 분야 전체 비중에서 절반 이상(50.5%, 2023년: 56.0%)을 차지하고 있었던 어린이집 소비는 전년 동기 대비 14.5% 감소했다.(표 3. 참고)
<표 </em>3. 연도별 합계 출산율>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3Q |
출산율(명)* | 1.05 | 0.98 | 0.92 | 0.84 | 0.81 | 0.78 | 0.72 | 0.76 |
*출산율: 한 여성이 가임기간(15~49세) 내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 통계청
**기관별 입소 가능 나이(2024년 기준): 어린이집 만0세~만5세(2020년~2024년生), 유치원 만3세~만7세(2017년~2021년生)
같은 기간 내 어린이집 다음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한 보습학원(매출 비중: 19.6%)과 예체능학원(매출 비중: 9.1%) 소비는 각각 6.9%, 6.5%씩 오르는 등 사교육 관련 소비는 여전히 증가세를 유지했다. 반면 학습지, 유치원 소비는 감소했다.(표 4. 참고)
<표 </em>4. 교육 분야 內 주요 업종 소비 및 비중 증감(23.1~11 대비 24.1~11)>
| 어린이집* | 학습지 | 유치원* | 외국어학원 | 예체능학원 | 보습학원 |
소비 증감 | -14.5% | -7.5% | -5.6% | +11.9% | +6.9% | 6.5% |
매출 비중 (2023년 대비) | 50.5% | 2.1% | 0.1% | 7.6% | 9.1% | 19.6% |
주요 분야에서의 소비는 전년 동월 대비 모두 감소세를 보였지만, 세부 업종(13개)으로 분석 범위를 확대한 결과 일부 업종에서 소비 증가세가 확인됐다.
전체 매출 비중에서 절반 이상(50.2%)을 차지하고 있던 쇼핑 분야 내 온라인 쇼핑 소비는 전년 동월 대비 4.3% 증가했고, 전체 매출 비중에서도 25.1%(2023년: 23.1%)로 전년 대비 증가했다. 기간 내 오프라인 쇼핑 소비는 5.4% 줄어들었다.(표 5. 참고)
<표 </em>5. 국내 주요 업종(13개) 소비 증감(23.1~11 대비 24.1~11)>
교육 | 교통 | 레저 | 쇼핑 | 식음료 | 펫/문화 | 의료 | ||||||
운송 | 주유 | 숙박 | 스포츠 | 오프라인 | 온라인 | 식당 | 음료 | 주점 | 펫 | 문화 | ||
-19.6% | +2.3% | -6.5% | -5.0% | -8.2% | -5.4% | +4.3% | -6.1% | -12.5% | -10.6% | -15.2% | -1.0% | -4.4% |
한편 두번째로 높은 매출 비중을 기록한 식음료 분야(매출 비중: 21.7%) 내 음료 소비는 전년 동기 대비 12.5% 감소했다. 주점 및 식당 소비도 각각 10.6%, 6.1% 감소하는 등 식음료 분야가 고물가 등으로 인한 내수 침체에 큰 타격을 입은 것으로 확인됐다.
우상현 BC카드 부사장은 “실시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이슈들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앞으로의 트렌드를 예측할 수 있는 콘텐츠를 발행해 온지 어느덧 2년이 됐다”면서 “향후 보다 고도화된 분석을 위해 AI 등도 적극 활용하는 등 국내 유일의 실시간 소비 통계 자료가 공공기관 정책 및 다양한 기업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꾸준히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1] BCiF: BC카드 신금융연구소(BC institute of innovative Fin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