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Oin PREMIUM=송재구 기자]
이재용의 선택은 '혁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이 반도체 위기 속에서 전면적인 쇄신에 나섰다. 27일 발표된 2025년 삼성전자 사장단 인사는 ‘책임 경영’과 ‘경쟁력 회복’을 핵심으로 반도체 부문의 대대적인 변화를 예고했다.
부진했던 파운드리사업부는 한진만 부사장을 사장으로 승진시켜 새로운 리더십을 발휘하게 했다. 한 사장은 D램 설계부터 SSD 개발, 미주총괄까지 거친 글로벌 반도체 전문가로, 이번 인사로 TSMC와의 격차를 줄이고 공정 기술 혁신을 이끌 적임자로 꼽혔다.한진만 부사장이 사장으로 승진, 파운드리사업부장을 맡게 됐다. /
메모리사업부는 전영현 부회장이 직접 대표이사를 겸하며 체제를 재정비한다. 삼성전자는 "전 부회장이 메모리 기술 경쟁력을 다시 세우는 데 총력을 다할 것"이라 밝혔다.
'투톱 체제'의 부활과 강화
이번 인사의 또 다른 초점은 한종희-전영현 부회장 체제를 통한 책임 경영 강화다. 한 부회장은 신설된 품질혁신위원장을 포함해 4개의 직책을 겸임하며 삼성전자의 근본적인 품질 혁신을 주도한다.
전 부회장은 DS부문장, 대표이사, 메모리사업부장, SAIT 원장을 겸하며 반도체 사업의 전면적인 개편을 진두지휘한다. 삼성전자는 "2인 대표 체제로 각 부문의 경쟁력 강화와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다질 것"이라며 '투톱 체제'에 거는 기대를 드러냈다.삼성전자는 한종희(왼쪽)·전영현 2인 대표이사 체제를 복원했다.
반도체 경쟁력 회복, 전진 배치된 리더십
김용관 부사장은 사장으로 승진하며 반도체 경영전략담당으로 새롭게 배치됐다. 김 사장은 풍부한 전략 경험을 바탕으로 DS부문의 새로운 도약을 이끌 예정이다.
또한, 사장급 CTO 보직을 신설해 남석우 사장이 파운드리 공정 개발과 제조 경쟁력을 강화할 책임을 맡는다. 삼성전자는 "남 CTO가 파운드리 기술 혁신을 이끌 적임자"라 평가했다.
글로벌 리더십과 혁신에 초점
이번 인사는 단순한 교체를 넘어 혁신 과제를 부여받은 시니어 리더들의 책임 경영에 방점을 찍었다. 이영희 사장은 DX부문 브랜드전략위원으로, 고한승 사장은 미래사업기획단장으로 전환 배치되며 중장기적 가치를 창출하는 데 기여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조만간 추가 임원 인사와 조직 개편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할 전략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위기 속에서 다시 도약하겠다"는 이재용 회장의 의지가 실현될지, 새롭게 진용을 갖춘 삼성전자의 행보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